낭월 박주현님의 도서 4권을 읽었습니다. (적천수 1~3편도 있지만, 기초 과정을 모두 마치면 적천수를 들어가려 합니다)
그럼 이번에도 이어서 왕초보 명리학 내용을 시작 하겠습니다^^
이번편은 12지지의 지장간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5행의 방국으로는 12지지를 나눠 보았습니다.
북방: 해자축(亥, 子, 丑)
남방: 사오미(巳, 午, 未)
서방: 신유술(申, 酉, 戌)
동방: 인묘진(寅, 卯, 辰)
그럼 12지지에 대하여 지장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매월 30일로 지장간의 각 비중을 하나의 규칙과도 같이 나눠져 있으니 외우시기 바랍니다.
인신사해 (7. 7. 16)
자오묘유 (10. 20)
진술축미 (9. 3. 18)
매월 30일 기준으로 각 지지속의 천간의 비중을 정합니다.
그러면 정월(인월)부터 축월까지의 지지를 설명 하겠습니다.
정월은 입춘으로 삼양개태라고 합니다. 3가지의 양이 활짝 열였다라는 말입니다.
인월 (寅 목): 무 戊 7 / 병 丙 7/ 갑 甲 16
인월은 양의 목이지만, 그 속에는 무토와 병화가 각각 7이 있습니다.
이는 인목에 병화의 화의 기운이 담겨져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병화는 인(목)을 좋아한다는 말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묘월 (묘 목): 갑 10 / 을 20
묘월은 목의 기운이 가장 강력한 월입니다. 그래서 음의 끝은 양의 기질을 갖는다 하였고, 묘월은 양의 기운과도 같습니다.
갑이 10일이고 을이 20이면 지장간은 모두 (목)으로 이뤄져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깊고 강력한 기운으로 봄의 기운을 품고 있는 것이 묘월 입니다.
진월 (진 토): 을 9 / 계 3 /무 18
진월은 봄의 마지막입니다. 오행은 토이지만 토 외에도 목의 기운과 수의 기운이 있습니다.
인묘진 동방 목국으로 을(목)이 9가 있으며, 계(수)가 3이 있으기에 목과 수의 기운이 같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봄에는 꽃이 피고, 나무를 심기 좋다는 말입니다.
물기가 많은 습토에 나무는 양분을 받고 클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토에는 목이 뿌리를 내릴 수가 있다는 내용입니다.
사월 (사 화): 무 7 / 경 7 / 병 16
사화는 여름의 시작입니다. 사화의 오행은 화입니다.
하지만 지장간에는 뜬금없는 금이 있습니다. 그리고 토의 기운이 있습니다.
토와 금이 있는 이유는 용광로와 같은 뜨거운 불을 담기 위해서는 흙과 금이 있어야 됩니다.
즉 사(화)는 강한 화기를 담기위해 경(금)이 있으며, 그 금을 보호하기 위해 무(토)가 함께 있습니다.
이렇듯 세상 만물의 이치에 맞게 토, 금, 화를 함께 담고 있는 것 입니다.
오월 (오 화): 병 10 / 기 9 / 정 11
오월은 자,묘,유 와는 조금 다르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양의 기운이 강하지만 음(토)인 기(토)가 있습니다.
자, 묘, 유와 달리 기토가 있는 이유는 왜 그럴까요?
오월의 오(화)는 병(화)와 정(화)로만 구성 되어 있다면 무더운 더위에 불꽃마저 태우는 용암으로 병(화)와 정(화)의 화기가 폭발적으로 발생하여 모든 것을 불태우고 사라지는 형상이 떠오릅니다.
그렇기에 화기의 폭발로 모든 것이 사라지지 않기 위해서 습한 기(토)가 나와서 병(화)와 정(화)를 보존하는 자연의 섭리와 같습니다.
이것이 명리학의 우주만물의 원리라고 설명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흔히 말띠 여자는 팔자가 쎄다고 말을 하는데 그런 이유는 적토마의 기운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삼국지에서 적토마를 들어본적 있을 겁니다. 적토마는 명장을 태우고 적장을 휘저으며 날렵하고 기운이 쎈 말로 유명합니다.
그런 말의 기운과 같이 말띄 여성은 활동력과 기가 쎈 여자라 하여 옜말에 팔자가 쎄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요즘 시대는 여성의 사회 진출로 활달한 여성상을 선호합니다.
미월 (미 토): 정 9 / 을 3 / 기 18
미월은 하계의 끝입니다. 사월과 오월의 강력한 화기를 오랬동안 담고 있는 (토)입니다. 물기가 없이 바짝 마른 흙의 형상입니다.
삼복더위라고 표현할 만큼 화기는 여전히 강력합니다. 그래서 지장간 또한 정(화)의 기운과 을(목)의 기운으로 사월과 오월보다도 더욱 덥습니다. 이는 사화와 오화의 강력한 화기가 오랬동안 불태웠기에 복사열과 같이 땅속에 복사열이 아직 남아 있는 것입니다.
미(토)에는 을목의 기운이 있어 병,정(화)의 뿌리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수분기가 없는 적토라 결국 목은 뿌리를 내리지 못합니다.
신월(신 금): 무 7/ 임 7 / 경 16
신월은 가을의 시작 입니다. 입추라고도 하고 처서가 지나는 시기부터는 가을 금의 기운이 강력하게 발현 되기 시작합니다. 물론 지구온난화를 넘어 지금은 지구 열대화로 신월 마저도 화기가 끝나지 않고 무덥습니다. 그래서 명리학문 마저도 균형이 무너져 바뀌지 않나 싶습니다.
사-오-미 월의 화기를 4월에서 6월까지가 아닌 8월까지는 남방 화국으로 생각이 됩니다. 물론 자연의 섭리에 따른 저의 생각일 뿐입니다.
우선 학문에 초점을 맞춰보면 신월은 더운 화기가 끝나고 서늘한 가을의 기운이 시작됩니다. 입추를 지나고 부터는 더욱 금기가 강하게 작용합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임, 계(수)는 신월을 좋아합니다.
신(금)은 바늘과 같은 침의 형상을 하고도 있습니다. 그래서 신금을 용신으로 쓰면 한의사나 의사가 많다고 합니다.
유월 (유 금): 경 10 / 신 20
유월은 완전한 가을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가을이 되면 곡식을 거두듯이 모든 것이 무르 익는 계절입니다. 유월은 보석, 작은 돌맹이, 날카로운 칼날의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유금은 살기의 기운을 갖고 있습니다. 유금 위에 약한 갑.을(목)은 살아가 수 없습니다. 반면 뿌리가 강력한 갑.을(목)은 가지를 쳐주는 역할을 하고, 넝쿨을 다듬는 역할을 해 줄 수 있습니다. 오행의 조화가 중요하다는 이유가 이런 것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술월 (술 토): 신 9 / 정 3 / 무 18
술(토)는 가을의 끝입니다. 가을 붉고 샛노랑 물이 잔뜩 들어간 큰 태산의 형상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술월의 지장간에는 신(금)과 정(화) 그리고 무(토)가 각각들어가 있습니다. 신-유-술 서방 (금)국으로 신(금)이 들어가 있는 것은 이해가 되나, 뜬금없이 정(화)가 들어가있기에 역시 진술축미의 토가 어렵습니다.
아마도 지지의 (토)는 삼합의 작용을 위해서도 지장간에 의미가 숨겨진듯 합니다. 그렇게 술월에는 강력한 금의 기운을 갖고 있지만 화의 기운이 있는 것은 아마도 해.자.축 북방 (수)극을 이겨내기 위해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해월 (해 수): 무 7 / 갑 7 / 임 16
해월은 초 겨울의 시작입니다. 모든 생물들은 겨울 나기를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겨울의 시작으로 인하여 나무는 생기를 축적하기 시작합니다. 초겨울의 해월인 해(수)는 무(토)와 갑(목)의 기운이 있습니다. 더구나 목이 좋아하는 임(수)도 함께 있습니다. 그래서 해(수) 나무를 생해주는 기운을 가득 품고 있다고합니다. 그래서 해(수)는 천간의 갑.을(목)의 생지 역할을 합니다. 대체적으로 인.사.신.해 지장간의 중간 초기중기본기?의 생지가 됩니다. 인(목)은 화의 생지, 사(화)는 금의 생지 신(금)은 수의 생지 해(수)는 목의 생지 입니다. 여기서 사화가 금의 생지라는 것이 조금 의아할 수 있으나, 화를 쓰기위한 용도로 경금의 힘이 있는 것으로 금의 생지가 됩니다.
갑(목)은 병(화)와 해(수)를 좋아합니다.
자월 (자 수): 임 10 / 계 20
자월은 한겨울, 동짓달이라고도 합니다. 한참 추운 겨울, 꽁꽁 얼어붙은 강얼음의 형상입니다.
그만큼 자 (수)가 냉혹한 추위의 물을 품고 있다는 것입니다. 자(수)의 추위로 인해 갑.을(목)은 해(수)만큼의 수분의 흡수를 받지 못합니다. 자(수)와 오(화)는 특히 음의 오행으로 배우지만, 실제 성분을 보면 매우 편향된 양의 기운을 뛰고 있습니다.
또한 자월은 모든 것의 시작으로 봅니다. 사주의 가장 처음은 갑자입니다. 그래서 갑자는 모두 자기가 신조고 조상이며, 1등이라는 자신만만해 합니다.
사주 시간에 있어 자(시)만 유독 자정 전은 야자시 이고 자정 후는 조자시(주자시)라고 부릅니다. 허나 요즘의 정설은 모두 자시의 시작부터 일간이 변환 것으로 간주합니다.
축월 (축 토): 계 9 / 신 3 / 기 18
축월은 한겨울의 끝무렵으로 꽁꽁 얼어붙은 땅을 표현합니다. 습기와 냉기가 가득하여 농사를 지을 수가 없습니다. 겨울의 논과 밭은 습기와 냉기로 인해 꽁꽁 얼어붙은 땅으로 삽질도 하기 힘들 것입니다.
미토와 반대로 축토는 축축한 습기를 갖고 있기에, 한 여름에도 곡식에 수분을 줄수 있습니다. 사주 전체의 전반적인 오행이 화로 이뤄져 있다면 그런분에게 만나는 축토는 따뜻한 난로며 보물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지지는 천간이 활동하기 위한 환경과 배경이 되어줍니다. 그렇기에 경.신(금)과 임.계(수)는 축토에서 기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명리학 도서(서평과 요약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6편(신살, 12운성, 공망) (0) | 2025.04.19 |
---|---|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5편(사주 구성과 대운) (0) | 2025.04.18 |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4편(신살, 12운성) (0) | 2025.04.17 |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3편(용신과 대운) (0) | 2025.04.16 |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편(오행의 물상과 형상) (0) | 2025.04.15 |